원동방

장조순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몸부림 [2006.06.01]

우리가 산이있어 오르고 산을 오르면 다시 내려오듯이 돌아가는것이 등산뿐아니다우리의 모든일상이 끝나면 다시 시작하듯이 반복하며 하루하루를 설계하고 실행하며 일생을 살아간다서로간 연결되어 복잡한 세상사가 개인이나 단체나 국가나 다 맞찬가지로 무언가를 시작하고 끝나면 다시시작한다이런현상은 많이보고 느끼고 체험하는것이다자연 현상 도 같은원리로 쉬지않고 자강불식하는것이다우리또한 지구를 무대로 삼고 우주공간을 상상의 생각의 무대로삼아 행동하고 생각하며 열연하고 배우처럼 역활이 끝나면 무대뒤로 살아지듯이 우리도 […]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몸부림 [2006.06.01] 더 읽기"

큰생각보다 작은실천이 중요하다 [2006.06.14]

요즘 식당이나 집에서 자주 목격되는 광경이다식탁의 작은 물방울이나 오물을 제거하기위해 또는 콧물을 닦기위해 한조각의 휴지면 충분할것을 휴지를 들고 손에 둘둘 말거나 뽑아쓰는 휴지라면 한번 뽑으면 될것을 습관적으로 여러번 뽑아 한번에 쓰고 버리는 습관된 행동을 볼때 우리 기성세대들은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집안에서는 아이들한테 잘못을 지적하기도 한다이러한 잘못된 작은 습관이 얼마나 많은 물질적 낭비이며 경제적 손실이겠는가이는 자연파괴로 연결된다.

큰생각보다 작은실천이 중요하다 [2006.06.14] 더 읽기"

나노시대의 인식전환 [2006.06.19]

물질은 본시 큰것이 존재하고 많은것이 있었던것이아니다 많고 적음 크고 작음은 생대적 개념이지 본질적 차이가가 없다 그기능이 다를 뿐이다원래 우주도 작은 먼지의 뭉침으로 시작되었다고 하지않나요크고 힘센것에서 작고 빠른것으로 그가치가 이동되고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있다나노시대가 오고 유비쿼터스 시대를 예고하고 있는것이다우리 지구촌의 생태계는 생산자 (식물) 와 소비자 (동물) 그리고 분해자 (미생물)로 이루어저 서로 공존의 틀안에서 상호상생하고 유지 존속하며

나노시대의 인식전환 [2006.06.19] 더 읽기"

신용은 깨지기 쉬운 거울과 같다 [2006.06.29]

우리는 항시 자기의 모습을 보기위해 거울을본다깨끗한지 더러운지 예쁜지 추한지 를 그대로 보기위해서다그러나 거울이 깨끗할경우에 숨김없이잘보인다거울이 흐리게 먼지가 끼었거나 흠이낫거나 깨젓을경우 우리가 볼여는 모습은 흐려보이거나 다른 모습으로 보일것이다우리가 사회 생활 하느데있어 신용은 거울과 같은것이다깨어지면 다시쓸수없는것이 거울이듯이 신용도 자기을 비추는 거울인것이다항시 깨끗하게 간직하고 잘닦아 언제나 누가보아도 자기를 정확하게 볼수잇도독 관리되어야 한다거울은 겉모습만 보여주지만 신용이란 거울은 마음속까지도 볼수있는

신용은 깨지기 쉬운 거울과 같다 [2006.06.29] 더 읽기"

한말은 지울수가없다 [2006.07.14]

사람의 인격은 말과 행동으로 나타나며 말은 한번하면 취소하거나 지울수없는 것이다종이에쓴글은 지우개로 지울수있지만 말은 하는순간 허공으로 울려퍼지고 말한자의 지배권을 상실한다그래서 말은 지우개가없다고도하고 失語之嘆(실어지탄)이란 고사성어도 생겼을것이다말이란 하는사람의 인성의 토대에서 자란 마음이 밖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그사람의 심상과 인격을 알아볼수있는것이다말은 상대의 감정을 자극할수도 편안하게 할수도 희망을 갖게할수도 절망하게할수도잇다말은 사람의 생각에서 나왔으므로 신과같이 유희도하여 매우다루기 힘든 무기와 같은것이다 언어의 유희의

한말은 지울수가없다 [2006.07.14] 더 읽기"

職場(직장)은 어떤곳이어야하나 [2006.07.19]

직장을 한낫생계의 수단으로 생각하는자 지식과 경험을 쌓고 자기발전의 도장으로 생각하는자 로 구분할수있다前者는 자기도 발전하지 못하고 회사에 도움도 주지못한다회사는 지식인과 기능인의 집단이며 이익창출의 조직이다회사도 사람이 많다고 해서 큰조직이아니다 많은 자동차 부속품을 그대로 느러놓았 다면 자동차 구실을 할수있겟는가 회사도 사람이 많이있다고 조직이않이다 집단일뿐이다한사람 한사람 기능의 연결성으로 각자의 기능을 발휘케하여 그역랑이 모두 발휘된다면 어떠한 목표도 어떤난제도 해결할수잇을것이다회사의 가장큰

職場(직장)은 어떤곳이어야하나 [2006.07.19] 더 읽기"

必要와 慾求사이 [2006.07.25]

필요는 꼭있어야하는것이고 욕구는 갖고싶은것이다우리가 일상생활하는데있어 물건을 구매하고자할때 꼭필요한 것인지 물건을보니 사고싶고 갖고실은 욕구가 생긴것인지 충동구매인지 계?구매인지 잘생각해볼필요가있다전자는 필요적이고 후자는 욕구적이다필요해서 없어서안될것을 사는것은 필수품을 사는것이고 갖고싶어서 사는것은 사치품이다 항시 작은물건이라도 구매할때에는 필요적인가 욕구적인가를 따져보아야하고 삿을때와 사지않았을때 손실과 이익을 계산해볼필요가있다현재사고싶은 욕구을 억제하고 사지않았다면 현금지출이나 채무가 발생하지않아 수지상 이익일수도있고 다음에 꼭필요하거나 더값진 물건을 살수있는 여유(능력)가 생긴것이다 위와 같이

必要와 慾求사이 [2006.07.25] 더 읽기"

寄生과共生 [2006.08.11]

쉽게말하면 기생은 붙어사는것이고 공생은 함꼐사는것이다우리 젊은이들은 기생을 싫어 하면서도 기생에 길드려져 익숙해있다기생하게되면 독립적 자주성이 약해지고 누군가에 의지하지않으면 불안해 아무것도 할수없는 나약한 인격자로 된다기생을버리고 공생하려면 자기가 타고난 소질을개발하여 잘할수있는 전문성과 자기의 정체성이 있어야야한다그리고 상대방을 배려할줄아는 열인마음이 준비 되어야한다공생은 날이갈수록 발전하고 진보하지만 기생은 상대를 피로하게하고 싫증나게만들어 혼자사는것보다 퇴보하게되고 불행한 결과를 낳게된다공생과 기생관계는 가정에서나 사회에서나 같은 원리로 적용된다가정은

寄生과共生 [2006.08.11] 더 읽기"

過猶不及(과유불급) [2006.08.20]

글자대로 해석하면 지나친것보다 좀 부족한 것이 낫다고 해석 됩니다 쉽게예를들면 음식도 배가부르게 먹는 것 보다 배부르기전에 그만 먹는 것이 좋다 이런말입니다우리가 생활함에있어 좋은도움이되는 고사성어라하겠습니다 —— 마음도 몸도 모든기기사물도 꽉차면 더 채울 수 없으며 더 채울 수 없다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수 없게됩니다마음은 비울수록 많은 새로운 생각과 지식을 받아들일수 잇고 모든기기사물은 빈공간이있어야 새로운것을 넣을수있읍니다음식도 적게먹어 몸무게를

過猶不及(과유불급) [2006.08.20] 더 읽기"

돈을생각하지말고 일을생각하자 [2006.08.22]

보통 대댜수의 사람들은 돈버는일 돈생기는일에 만 관심이있고 이에 집착한다자기가 즐거운마음으로 잘할수있는일인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일인지 도 관심없다 이것은 主客이 顚倒(전도)된 잘못된생각이다 돈은 일을 함으로서 얻어지는 부산물로 일이 主物이고 돈은 從物이다 무슨일이고 일은 하는 목적이있고 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물이 있게만련이다 일을시킨사람이나 일을한사람이나 목적이나 결과물은 다르더라도 일의 소중함은 같은것이다 그래서 직업은 귀천이 없는것이다 사람은 태어날대부터 타고난 소질과 재능이 다

돈을생각하지말고 일을생각하자 [2006.08.22] 더 읽기"